기능 | 종류 |
---|---|
하·폐수처리의 첫 단계로서 유입수 중에 혼입된 잡다한 협잡물로 인한 펌프 및 기기류의 손상 보호, 수로내의 Mass Balance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이다. | 바스크린 |
기계식 스크린 | |
Micro 스크린 | |
Screw Pump |
기능 | 종류 |
---|---|
하·폐수 내의 자갈, 모래, 비닐류, 기타 금속류등에 의한 펌프등 기기류의 손상 또는 관등의 폐쇄를 방지하고, 후 공정(폭기조, 침전조, 소화조등)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처리공정 효율 보전을 위해 설치한다. | 수평류식 |
수직류식 | |
폭기식 |
기능 | 종류 |
---|---|
오·폐수 중의 유분을 제거하여 후공정에서 행해지는 처리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해주는 장치 | Baffe식 |
API식 | |
PPI식 | |
CPI식 |
기능 | 종류 |
---|---|
시간의 변화에 따른 오·폐수의 유량 및 농도의 변화르 최소화하는 장치 | 집수조(균등화주) |
펌핑조 | |
처리수조 | |
방류조 |
기능 | 종류 |
---|---|
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Colloid상태의 불순물 또는 중금속류를 최적의 pH상태에서 응집제를 첨가하여 입자를 크게 뭉치게 하거나 금속수산화물을 형성시켜 침전이 잘되도록 해주는 장치 | 장방형 |
정방형 |
기능 | 종류 | ||
---|---|---|---|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 후 생성된 Flock은 중력을 이용해 자연침강시켜 고액분리 제거하는 기능 | 처리공정별 구분 | 침전지 형태별 구분 | 수류에 따른 구분 |
화학적 침강조 | 자방형 | 수류평식 | |
1차침전조 | 정방형 | 수직류식 | |
2차침전조 | 원형 |
기능 | 종류 |
---|---|
폐수 중에 포함된 고체입자나 오일입자등에 미세한 기포를 부착시켜 비중감소에 의한 부력증가로 오염물질을 부상시켜 제거해 주는 장치 | 용존 공기부상법 |
유도 공기부상법 | |
공기 부상법 | |
진공 부상법 |
기능 | 종류 | ||
---|---|---|---|
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 후 처리수 중에 남아있는 미세한 부유물질 성분을 제거해주는 방치 | 여재종류에 의한 분류 | 유입수 가입여부에 의한 분류 | |
Single Media FilterDual Media | 완속여과(중력식) | ||
FilterMulti Media Filter | 급속여과(압력식) |
기능 | 종류 |
---|---|
단위공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장치 | Vacuum Filter |
Filter Press | |
Belt Press | |
Centrifuges | |
Sludge-dry Beds |
기능 | 종류 |
---|---|
탈수처리 전 슬러지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서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는 기능 | 중력농축 |
부상농축 | |
원심분리농축 |
기능 | 종류 |
---|---|
응집, 산화, 환원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적의 Ph를 조정해 주는 장치 | 응집반응을 위한 pH조정: SS, 중금속처리 |
산화반응을 의한 pH조정:CN-처리 | |
환원반응을 위한 PH조정:Cr6+처리 |
기능 | 종류 |
---|---|
6가크롬이 함유된 중금속폐수에 Ph2.5-Ph2.8이 되도록 H2SO4를 주입한 후 NaHSO4를 주입하여 무해한 3가크롬(Cr3+)으로 환원시키는 시설 | 산성환원침전법 이온교환법 R-OH+CrO4-2→R-CrO4+OH-2R-H + Na2CrO4→R-Na+H2CrO4 전기분해환원법 |
기능 | 종류 |
---|---|
CN함유 폐수에 NaOCI, CI2, HOCI, KMnO4등의 산화제를 주입하여 CO2와 N2로 분해시켜 제거하는 시설 | 알칼리성 염소주입법 |
오존산화법 | |
Ferrite법 | |
전기분해법 | |
소각법 |
기능 | 종류 | ||
---|---|---|---|
폐수 내 병원균을 함유하거나 부패 가능한 폐수의 경우 방류직전에 살균 처리하는 장치 | 염소에 의한 살균 | 차아염소산염에 의한 살균 | Ozone에 의한 살균 |
CI2(기체) | NaOCI | O3 | |
CI2(액체) | CaOCI |
기능 | 종류 | ||
---|---|---|---|
여과시설을 거친 처리수 또는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하여 잔존 BOD, COD의 제거, 탈취, 합성세제의 제거 기능을 갖춘 장치 | Carbon Bed형태에 따른 분류 | 동력유무에 따른 분류 | |
고정상의 하향류 or 상향류 | 중력식 | ||
유동상(Expanded bed) 상향류 | 가압식 |
기능 | 종류 |
---|---|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농축처리 전 또는 후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오니성상을 변화시키는 장치 | 화학적 처리 |
세척 | |
열처리 |
기능 | 종류 |
---|---|
응집보조제로서 고분자응집제를 첨가해 혼합시설에서 형성된 입자끼리의 응집을 촉진시켜 조대한 Flock으로 유도시켜주는 장치 | 장방형 |
정방형 |
기능 | 종류 |
---|---|
자갈, 쇄석, 프라스틱류의 매질로 채워진 철근 Con’c탱크 위에 회전분배기(Distributor)로 처리 하고자 하는 오·폐수를 균등하게 살수시켜주어 매질층을 통과하면서 처리된 오·폐수를 하부의 배수시설에서 집수한 후 통과된 미생물 Flock의 제거를 위해 최종침전조를 거치도록 되어있는 장치이다. | 표준(저율)살수여상법 |
Intermediate(중율)살수여상법 | |
고속(고율)살수여상법 |
기능 | 종류 |
---|---|
호기성 조건하에서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기질(基質)로 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호흡 및 합성과정을 통해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공법 | 활성오니법 |
활성오니법의 원리를 이용한 변법 -계단식폭기(Step Aeration) -접촉안정법(Contact Stabilization) -개량폭기법(Modified Aeration) -장기폭기법(Extended Aeration) |
|
순수산소 활성슬러지법(Pure Oxygen Activated Sludge) |
기능 | 종류 |
---|---|
CN함유 폐수에 NaOCI, CI2, HOCI, KMnO4등의 산화제를 주입하여 CO2와 N2로 분해시켜 제거하는 시설 | 알칼리성 염소주입법 |
오존산화법 | |
Ferrife법 | |
전기분해법 | |
소각법 |
기능 | 종류 |
---|---|
폐수의 흐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중의 프라스틱 원판은 축이 회전함에 따라 원판 위에 부착된 미생물은 폐수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미생물은 유기물을 흡수하고 과잉의 미생물은 탈리하게 된다. 또한 미생물이 대기에 노출될 때 산소를 흡수하여 호기성상태가 되도록 하여 미생물 대사에 의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 단단회전원판접촉조 (Single-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 |
다단회전원판접촉조 (Multi-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 |
기능 | 종류 |
---|---|
호기성 조건하에서 통상 임의성 미생물을 이용하여(간혹 편성호기성 미생물도 사용) 유기성 슬러지를 산화시켜주는 시설로서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상등수의 BOD농도가 낮은 반면 폭기장치등으로 인한 동력 요수량이 크고 메탄이 생성되지 않아 에너지 이용이 제한을 받으며 소화슬러지의 함수율이 높아 탈수오니의 부피가 혐기성보다 큰 단점이 있다. | 회분식(Batch) |
연속식(Continuous-flow) |
기능 | 종류 | |||||||||||||||||
---|---|---|---|---|---|---|---|---|---|---|---|---|---|---|---|---|---|---|
가장 많이 설치 운영되고 있는 슬러지 처리방법으로 혐기성 조건하에서 통성혐기성 미생물과 메탄형성 박테리아와 같은 편성혐기성균을 이용하여 유기성슬러지를 산화시켜주는 시설이다. |
|
|||||||||||||||||
[호기성 & 혐기성 소화 비교]
|
SS제거율(%) | BOD제거율(%) | ||
---|---|---|---|
물리적 처리 | 40 ~ 60 | 30 ~ 40 | |
화학적 처리 | 60 ~ 80 | 50 ~ 70 | |
생물학적 처리시설 | 활성슬러지공법 | 90 ~ 94 | 88 ~ 90 |
살수여과상법 | 80 ~ 85 | 75 ~ 80 | |
회전원판법 | 80 ~ 90 | 80 ~ 90 | |
산회지법 | 60 ~ 68 | 60 ~ 80 |